연구 분야
한국 희곡, 동아시아 영화 및 TV 드라마, 영화 시나리오, 영화비평, 미디어와 영상문학
담당 교과목
-희곡읽기
-희곡론
-시나리오창작기초
-리라이팅 창작 연습
-동양고전읽기
저널 논문
◾ 세계대전 이후 동아시아 미디어 서사의 글로컬리티와 스타덤의 활용-「백부인의 요련」(일본, 1956), 「백사부인」(한국, 1960), 「백사전」(홍콩, 1962)을 중심으로-, 중국학연구회, No.91 pp.359-397, 2020
◾ 중국 현실 소재 웹 드라마의 장르 특징과 사회적 의미 연구, 애니메이션연구, Vol.16 No.1 pp.65-85, 2020
◾ 중국 TV드라마 <보보경심(步步驚心)>(2011)과 리메이크 한국 TV드라마 <달의 연인: 보보경심 려(麗)> (2016)의 서사 비교 연구-그레마스 기호학에 의한 분석을 중심으로-, 중국학연구회, No.94 pp. 209-249, 2020
◾ 전후 시기 동아시아 매체서사의 로컬리티― 한중일 삼국 영화에서의 중국 고전서사 <백사전(白蛇傳)> 수용을 중심으로, 한국중국소설학회, No.55 pp. 245-272, 2018
◾ 텐센트(Tencent)의 ‘전문학(全文學)’ 전략과 중국의 디지털 리터러시, 시민인문학, No.46 pp.9~35, 2024최영희
◾ 중국 고전문학 IP의 문화콘텐츠 개발 사례 연구 - “세설신어(世說新語)”의 활용을 중심으로 -, 문화와융합, vol.46 No.1 pp.993~1006, 2024최영희
◾ 한중 범죄 영화의 표상 비교 연구: 한국 영화 <베테랑>(2015)과 리메이크 중국 영화 <대인물(“大”人物)>(2019)을 중심으로, 시민인문학, vol.45 No.45 pp.33~69, 2023최영희
◾ 글로벌 K-드라마의 여성영웅 서사 - 넷플릭스 드라마 시리즈 “마이 네임”의 스토리텔링 전략을 중심으로 -, 문화와융합, vol.45 No.8 pp.241~252, 2023최영희
◾ 중국 현대 대중문화 콘텐츠 IP의 생사관(生死觀) 연구 - 웹소설 “삼생삼세 십리도화(三生三世十里桃花)”의 ‘삼생전세(三生轉世)’ 모티프를 중심으로 -, 문화와융합, vol.45 No.6 pp.247~260, 2023최영희
◾ 영화 <드라이브 마이 카(Drive My Car)>(2021)에 구현된 소설 드라이브 마이 카와 희곡 바냐 아저씨의 조응 양상 연구 - 캐릭터의 특성과 서사 분석을 중심으로 -, 문화와융합, vol.45 No.2 pp.721~735, 2023최영희
◾ 중국 SF 영화 『유랑지구(流浪地球)』(2019) 스토리텔링의 신화 서술과 중국신화 모티프 활용 양상 연구, 중어중문학, No.89 pp.225~250, 2022최영희
◾ 매체 변환을 통해 재해석된 『세일즈맨의 죽음』: 아쉬가르 파라디 감독의 영화 <세일즈맨>(2017), 문화기술의 융합, vol.8 No.4 pp.193~198, 2022최영희
◾ 자전적 영화로서 정이삭의 <미나리>(2020) 연구 : 벤야민의 ‘삶을 구성하는 힘’ 개념을 중심으로, 아시아영화연구, vol.15 No.1 pp.209~240, 2022최영희
◾ 동화 <빨간 구두>의 서사 변용 특성 연구: 빅터 터너의 ‘사회적 드라마’ 이론을 중심으로, 문화기술의 융합, vol.8 No.2 pp.243~249, 2022최영희
◾ 한국 TV 드라마 속 이계(異界)의 시공간적 특징에 대한 일고찰―「도깨비」(2016), 「호텔 델루나」(2019), 「쌍갑포차」(2020)를 중심으로―, 어문논집, No.93 pp.145~175, 2021최영희
◾ 동아시아 여성영화의 모성신화(母性神話)와 문화번역: 한국 영화 <미씽: 사라진 여자>(2016)와 리메이크 중국 영화 <너를 찾았다(找到你)>(2018)의 서사 분석을 중심으로, 중국지식네트워크, vol.18 No.18 pp.269~310, 2021최영희
◾ ‘꿈’ 문화원형의 환상성과 미디어적 재현에 대한 일고찰 -연극 <한여름 밤의 꿈>(극단 여행자)와 OTT 드라마 <쌍갑포차>(JTBC)를 중심으로-, 문화와 융합, vol.43 No.3 pp.377~402, 2021최영희
학술대회
- 从全球本土化视角看战后东亚地区的传媒叙事:以日本、韩国、香港的白蛇传电影为主, 《上海复旦大学中华文明国际中心访问学者工作坊研讨会论文资料集》, 2016. 6. 21.
- 从全球本土化艺术设计视角看战后东亚地区的媒体转换叙事, 안휘공정대학, 2019. 1. 4.
- 香港主要电影橙天嘉禾娛樂集團有限公司研究, 한국영상자료원, 2019.
- 문예창작학과의 교육 수요자 확보 방안-서울과학기술대의 사례를 중심으로, 한국문예창작학회, 2022. 4. 23.
◾ 문현선, 최영희, 한중 SF 영화의 장르적 특성: <더 문>(2023)과 <문맨>(2022)을 중심으로, 장르영화의 모든 것, 장르영화 톺아보기,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법학관, 2024최영희
◾ 최영희, 생성형 AI를 활용한 영화 시나리오 창작의 실험적 고찰, 2024년 추계학술대회/ 대학생 및 주니어 논문 경진대회, 코엑스 컨퍼런스룸, 2024최영희
◾ 최영희, 문현선, 텐센트의 "전문학(全文学)" 전략과 중국의 디지털 리터러시, 동아시아 디지털 인문학의 이론과 응용, 경기대학교 수원캠퍼스 예지관 4층 중어중문전공강의실(4407호), 2024최영희
◾ 최영희, “세설신어”의 문화원형적 가치의 재고: 문화콘텐츠 IP 개발 관점을 중심으로(再考《细说新语》的文化原型价值-以文化内容IP开发观点为主), 위진풍류와 중원문화-제5회 “세설학” 국제학술연토회, 중국 황회대학, 2023최영희
◾ 최영희, 문현선, 한중 영화에 나타난 범죄 표상 비교 연구-한국영화 <베테랑>(2015)과 리메이크 중국영화 <대인물>(2019)를 중심으로-, 2023년도 하계 학술대회-동아시아 대중서사 속의 사회·정치·역사,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, 2023최영희
◾ 최영희, 문현선, 한중 영화에 나타난 범죄의 사회적 구조에 대한 징후적 독해: 한국영화 <베테랑>과 리메이크 중국영화 <대인물>을 중심으로, 중국영화포럼, Zoom(온라인), 2022최영희
◾ 최영희, 소피 데라스페의 영화 <안티고네> (2019) 에서 국가적 폭력의 행사방식과 효과 연구, 문화와융합 (융합), Zoom(온라인), 2022최영희
◾ 최영희, 문예창작학과의 교육 수요자 확보 방안 – 서울과학기술대의 사례를 중심으로, 한국문예창작, 삼경교육센터/온라인(Zoom) 블랜디드, 2022최영희
저역서
-<<소서>>, 동아일보사, 2015
-<<반경>>, 동아일보사, 2015
-<<국민스타 최진실의 모든 것>>, 문화다북스, 2015
-<<지낭>>, 동아일보사, 2015
-<<장원>>, 동아일보사, 2016
-<<교양글쓰기>>, 역락, 2017
-<<택시운전사-천만영화를 해부하다 평론시리즈 3>>, 연극과인간, 2018
-<<거스르지 않는다>>, 문헌재, 2019
-<<삼자경-배움이란 무엇인가>>, 월인, 2020
-<<소서-삶의 바탕을 말하다>>, 월인, 2020
-<<연극과 영화의 경계와 통합>>, 연극과인간, 2020
◾ 최영희,박지영,문현선,문영희 지음, 소인경 : 어지러운 세상을 살아가는 소인의 큰 지혜, 저서, 9791196561802, 문헌재, 2024최영희
◾ 김다산,김소임,이형숙,이형식,이희원,정문영,정혜진,최영희 지음, 여성, 영화의 중심에 서다 : 노예에서 AI까지-페미니즘으로 영화 읽기, 편서, 9788955069549, 동인, 2023최영희
연구프로젝트
◾ 자전적 영화로서 정이삭의 <미나리>(2020)연구-벤야민의 '삶을 구성하는 힘' 개념을 중심으로, 서울과학기술대학교, 2021.08.~2022.07.최영희
기타(학회활동 등)
-웹진 <문화 다> 편집 동인 및 평론 다수 게재
-문화관광부 인문전수교육 프로젝트 참여(강의 및 교재 집필)
-現) 한국문예창작학회 총무이사
-現) 한국드라마학회 총무이사
-現) 사단법인 한국다큐멘터리학회 기획이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