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01811] 서울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상상관 616호 문예창작학과
TEL : 02-970-6291
Copyright (c)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. All Rights Reserved.
2008년 | 2월 15일 | 제9회 문학유적지 답사 |
---|---|---|
5월15일-18일 | 충청남도 공주-부여-논산 | |
8월 14일 | 후기졸업식 졸업생 11명 배출 | |
9월 25일 | 취업특강 | |
강사: 김세연 - 주제: ≪방송작가, 누가 무엇을 어떻게》 | ||
북스힐 조승식 -주제: 《출판 산업의 미래와 전망》 | ||
11월 4일-7일 | 문학과 예술에의 초대 | |
2007년 | 2월 23일 | 전기졸업식 졸업생 25명 배출 |
3월 30일 | 문창과 연합엠티 (‘강원도 철원’에서) | |
10월 3일-6일 | 제8회 문학유적지 답사 | |
경상남도 진주-고성-통영-거제 | ||
8월 17일 | 후기졸업식 졸업생 6명 배출 | |
2006년 | 2월 17일 | 전기졸업식 졸업생17명 배출 |
4월 28일 | 문학세미나 | |
광주대학교 소설가 문순태 -주제: 광주와 5월 문학 | ||
4월 22일 | 문학세미나 | |
시인 김헌선 -주제: 전라북도 남원의 민속예술 | ||
4월 29일 | 문학세미나 | |
시인 고재종 -주제: 광주와 생명문학 | ||
4월 27일 -30일 | 제 7회 문학유적지 답사 | |
전라남도 광주-담양-화순 | ||
8월 18일 | 후기졸업식 졸업생6명 배출 | |
11월 21일 | 문학세미나 | |
서울산업대학교 정밀화학과 교수 박수남 - 주제: 건강과 미용 | ||
2005년 | 2월 18일 | 전기졸업식 졸업생 23명 배출 |
2월 20일 | 문창과 신입생 상견례 | |
2월 26일-28일 | 새내기 새로배움터(OT) [코레스코 콘도] | |
3월 23일 | 문창과 전체상견례 (‘해마루’에서) | |
3월 31일-4월 2일 | 문창과 연합엠티 (대성리에서) | |
4월 21일-24일 | 제6회 문학유적지 답사. (안의-하동-구례-남원 등) | |
4월 23일 | 문학세미나. 강사: 김헌선 (경기대 국문학과 교수) | |
5월 18일-19일 | 대동제 주점 | |
7월 12일 | 신연우 교수 문예창작학과 학과장 맡음 | |
8월 19일 | 후기졸업식 졸업생 5명 배출 | |
10월 13일 | 문학세미나. 강사: 오영재 (서울산업대 시각디자인학과 교수) | |
10월 25일 | 문학세미나 강사: 김재홍 (문학평론가, 경희대 국어국문학과 교수) | |
2004년 | 2월 1일 | 최승호 교수 문예창작학과 부교수로 부임새내기 새로배움터(OT) [코레스코 콘도] |
2월 21일 | 전기 졸업식 졸업생 18명 배출 | |
4월 6일 | 신입생 재학생 상견례 (공릉동 ‘함흥냉면’에서) | |
5월 11일 | 문학 세미나. 강사 : 박태호(서울산업대 교양학부 교수) | |
5월 14일-15일 | 문예창작학과 연합 수련회 (철원에서) | |
5월 20일 | 김경훈 교수 퇴임 | |
6월 17일-20일 | 제5회 문학 유적지 답사. (경주-울산-양산-밀양-청도) | |
6월 18일 | 문학 세미나. 강사 : 정일근(시인) | |
8월 20일 | 후기 졸업식 졸업생 3명 배출 | |
9월 15일-18일 | ‘문학과 지성의 대향연’ 및 문예창작학과 개설 10주년 기념행사 | |
<초청 세미나> 강사 : 박정자(연극배우) | ||
<시와 노래가 있는 밤> | ||
출연 인사 : 나희덕(조선대 문창과 교수, 시인), 정일근(시인), 윤석화(연극배우) | ||
자전거 탄 풍경, 동물원, 백창우, 이수진, 굴렁쇠 아이들, 문예창작학과 교수, | ||
재학생 및 동문과 여러분 | ||
11월 18일 | <서울산업대학교 문예창작학과 창설 10주년 기념 학술 심포지움 개최> | |
11월 27일 | 제 12대 색깔있는 학생회 결성. 학생회장: 김혜정(03),부학생회장: 김미선(04) | |
12월 22일-24일 | 졸업사은회 (‘사랑방손님과 어머니’에서)문창과 입시 설명회 | |
2003년 | 2월 21일 | 전기졸업식 졸업생 21명 배출 |
4월 11일-13일 | 문예창작학과 연합 수련회 (가평에서) | |
4월 18일 | 신입생 재학생 상견례 (공릉동 ‘해마루 감자탕’에서) | |
5월 14일 | 문학 세미나. 강사 : 이덕일(동국대 연구교수) | |
6월 27일-30일 | 제4회 문학 유적지 답사. (풍기-안동-영양-영주-문경) | |
6월 28일 | 문학 세미나. 강사 : 안상학(시인) | |
(~2005년 7월 11일까지) 박정규 교수 문예창작학과 학과장 맡음 | ||
8월 1일 | 후기 졸업식 졸업생 7명 배출 | |
(~2004년 5월 20일) 김경훈 교수 서울산업대학교 연구년제 연구교수 | ||
8월 22일 | 문학과 지성의 대향연 | |
강사 : 최재천(서울대 생명공학부 교수), 안도현(시인) | ||
8월 25일 | 시노래 모임 나팔꽃 공연 | |
9월 30일-10월 2일 | 출연인사: 정호승(시인), 안도현(시인), 안치환, 백창우, 자전거 탄 풍경 | |
11월 20일 | 제11대 당신의 학생회 결성. 학생회장 신윤수(02), 부학생회장 안동수(03) | |
12월 9일 | 사은회 (하계동 ‘향림’에서) | |
2002년 | 1월 26일-27일 | 제3회 문학 유적지 답사. (해미-홍성-대천-홍천) |
2월 23일 | 전기 졸업식 졸업생 16명 배출 | |
3월 26일 | 신입생 재학생 상견례 | |
4월 20일-22일 | 문예창작학과 연합 수련회 (우이동에서) | |
5월 21일 | 문학 세미나. 강사 : 황종연(동국대 국문과 교수, 문학평론가) | |
8월 24일 | 후기 졸업식 졸업생 6명 배출 | |
11월 15일 | 문학 세미나. 강사 : 이승우(조선대 문예창작과 교수, 소설가) | |
11월 18일 | 문학 세미나. 강사 : 공임순(서강대 강사) | |
11월 20일 | 제10대 역대 최강 학생회 결성. 학생회장 김기원(99학번), 부학생회장 신윤수(02) | |
12월 7일 | 사은회 (동숭동 ‘사랑방 손님과 어머니’에서) | |
2001년 | 1월 1일 | 신춘문예 당선작 발표 |
‘대한매일’ 시 부문 당선 신혜정(99학번) ‘스프링 위를 달리는 말’ | ||
‘세계일보’ 소설부문 당선 최치언(98학번)’석탄공장이 있는 市에 관한 농담’ | ||
‘동아일보’ 희곡 부문 당선 서인경(95학번) ‘말! 말? 말...’ | ||
2월 24일 | 전기 졸업식 졸업생 24명 배출 | |
4월 11일-13일 | 문예창작학과 연합 수련회 (청평에서) | |
5월 17일 | 문학 세미나. 강사 : 정 민(한양대 국문과 교수) | |
8월 16일 | (~2003년 7월 31일) 신기상 교수 문예창작학과 학과장 맡음 | |
8월 18일 | 후기 졸업식 졸업생 7명 배출 | |
8월 31일 | 백영근 교수 정년 퇴임식 (하계동 ‘향림’에서) | |
11월 1일 | 문학 세미나. 강사 : 이병혁(서울시립대 사회학과 교수) | |
11월 15일 | 문학 세미나. 강사 : 리이도(춘천교육대 교수) | |
11월 22일 | 제9대 웃음이 끊이지 않는 학생회 결성. 학생회장 허영(99학번) | |
12월 13일 | 사은회 (대학로 ‘놀부네 집’에서) | |
2000년 | 2000학년도부터 | 문예창작학과 주간 신설 |
2월 20일 | 문예창작학과는 인문사회자연학부로 통합하여 신입생 모집 | |
(~2001년 2월 20일) 신기상 교수 미국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에서 한국어 강의 | ||
2월 19일 | 전기 졸업식 졸업생 19명 배출 | |
6월 1일 | 세미나. 강사 : 서연호(고려대 국문과 교수) | |
8월 10일 | ‘시의 나라’ 여름호 당선 고경아 (94학번) | |
8월 19일 | 후기 졸업식 졸업생 2명 배출 | |
10월 18일-21일 | 국립대학 발전 계획안-학과 통폐합-’ 반대 수업거부 | |
11월 8일 | 문학 세미나. 강사 : 정끝별(명지대 국문과 교수, 시인) | |
11월 20일 | 문학 세미나. 강사 : 서하진(경희대 국문과 겸임교수) | |
11월 21일 | 제8대 재미있는 학생회 결성. 학생회장 김덕성(99학번), 부학생회장, 허영(99학번) | |
11월 20일 | 제5회 ‘서울산업대신문 학술.문학상’ | |
시 부문 당선 최지연(00학번) ‘세익스피어의 <한여름밤의 꿈>을 보고’ | ||
시 부문 장려 임석균(98학번) ‘달과 호수’ | ||
소설 부문 당선 이경옥(97학번) ‘그녀의 손톱 밑’ | ||
소설 부문 장려 서인경(95학번) ‘나는 오늘도 하루 종일 TV를 본다’ | ||
소설 부문 장려 오창엽(95학번) ‘상자 안에서’ | ||
12월 7일 | `문학 세미나. 강사 : 서하진(경희대 국문과 겸임교수) | |
1999년 | 1월 1일 | 신춘문예 당선작 발표 |
‘대한매일’ 시 부문 당선 신혜정(99학번) ‘스프링 위를 달리는 말’ | ||
‘세계일보’ 소설부문 당선 최치언(98학번)’석탄공장이 있는 市에 관한 농담’ | ||
‘동아일보’ 희곡 부문 당선 서인경(95학번) ‘말! 말? 말...’ | ||
2월 20일 | 전기 졸업식 졸업생 24명 배출 | |
4월 11일-13일 | 문예창작학과 연합 수련회 (청평에서) | |
5월 17일 | 문학 세미나. 강사 : 정 민(한양대 국문과 교수) | |
8월 16일 | (~2003년 7월 31일) 신기상 교수 문예창작학과 학과장 맡음 | |
8월 18일 | 후기 졸업식 졸업생 7명 배출 | |
8월 31일 | 백영근 교수 정년 퇴임식 (하계동 ‘향림’에서) | |
11월 1일 | 문학 세미나. 강사 : 이병혁(서울시립대 사회학과 교수) | |
11월 15일 | 문학 세미나. 강사 : 리이도(춘천교육대 교수) | |
11월 22일 | 제9대 웃음이 끊이지 않는 학생회 결성. 학생회장 허영(99학번) | |
12월 13일 | 사은회 (대학로 ‘놀부네 집’에서) | |
1998년 | 2월 21일 | 전기 졸업식 졸업생 24명 배출 |
3월 1일 | (~1999년 8월 15일) 김경훈 교수 문예창작학과 학과장 맡음 | |
3월 17일 | 제5대 학생회 부학생회장 선거, 이주영(97학번) | |
4월 1일 | 신연우 교수 문예창작학과 전임강사로 부임 | |
5월8일-6월8일 | ‘주간설립투쟁’ 철야농성 | |
6월 1일-8일 | ‘주간설립투쟁’ 단식 | |
6월 8일 | 학생대표단 총장면담 | |
8월 22일 | 후기 졸업식 졸업생 1명 배출 | |
10월 20일-23일 | ‘문학의 대향연’ 개최. 강사 : 천양희(시인), 윤후명(소설까), | |
최원식(인하대 국문과 교수, 문학평론가), 주철환(MBC PD) | ||
10월 9일 | ‘산업기술박람회’에 시화, 문창과 간행 도서, 작품, TV드라마 대본 출품 | |
11월 | 제3회 ‘서울산업대신문 학술.문학상’, 소설부문 당선 이경옥(97학번) ‘노란 주전자’ | |
11월 30일 | 시부문 당선 김미영(95학번) ‘금붕어 뱃속에서’, 시부문 장려상 안현미(97학번) ‘이장(移葬)’ | |
12월 2일 | 제18대 중대 의혈창작문학상 시부문 당선 최경민(98학번) ‘북어’, 사은회 (종로에서) | |
제6대 획을 긋는 학생회 결성. 학생회장 박태신(94학번), 부학생회장 이현아(98학번) | ||
1997년 | 1월 1일 | 제1회 ‘서울산업대신문 학술.문학상’ |
시부문 당선 박태자(95학번) ‘아버지와 복권’, 가작 김미영(95학번) ‘빵’ | ||
소설부문 당선 김중호(95학번) ‘사랑이란 이름으로 기다림을 만들지 마라’ | ||
3월 18일 | 신입생 재학생 상견례 (학생 식당에서) | |
4월 1일 | 김미도 교수 문예창작학과 전임강사로 부임 | |
4월 7일 | 97학번 입학 기념 식수 | |
5월 11일 | 근로복지공단.KBS 공동 주최 제2회 ‘근로자 백일장’ 수필부문 장원 전인수(96학번) ‘희망’ | |
5월 19일 | 어의문학회 제1회 ‘어의문학상’ 시 부문 당선 김순화(94학번) ‘봄이 펄럭이고 있다’ | |
5월 21일-23일 | 소설부문 가작 정우정(96학번) ‘은행원’ | |
6월 3일 | 축제기간에 ‘시화전’ 개최 | |
11월 4일-7일 | 문학 세미나 강사 : 박규태(한양대 인문대 교수) | |
‘문학의 대향연’ 개최 | ||
강사 : 이윤택(극작가), 박범신(명지대 문예창작과 교수, 소설가), 오세영(시인), 김우종(평론가) | ||
12월 1일 | 제5대 획을 긋는 학생회 결성. 학생회장 안선희(96학번) | |
12월 1일 | 제2회 ‘서울산업대신문 학술.문학상’, 소설부문 당선 김금순(95학번) ‘임종’ 가작 김미영(95학번) | |
‘살의충동’, 시부문 당선 윤진화(96학번) ‘나는 똥이로소이다’ 가작 유형진(96학번) ‘가을아침에’ | ||
1996년 | 3월 1일 | (~1998년 2월 28일) 백영근 교수 문예창작학과 학과장 맡음 |
3월 12일 | 신입생 재학생 상견례 | |
5월 16일 | 96학번 입학 기념 식수 | |
5월 20일-21일 | 문예창작학과 연합 수련회 (장흥에서) | |
‘산업대 교육개혁’ 반대 건으로 휴업 7주만에 수업 재개. | ||
6월 3일 | 문예창작학과 전용 창작실 및 편집실 개관, | |
7월 4일 | 문학 세미나. 강사 : 박덕규(협성대 문예창작과 교수, 소설가) | |
‘문학의 대향연’ 개최, 강사 : 김승옥(소설가), 이호철(소설가), 정진규(시인), 문정희(시인) | ||
11월 4일-7일 | 제4대 획을 긋는 학생회 결성 | |
11월 20일 | 학생회장 김성화(95학번), 부학생회장 노혜진(96학번) | |
12월 12일 | 문예창작학과 발전방안 발표 | |
12월 16일-19일 | 제1회 문학 유적지 답사. (남원-담양-강진-영암-해남-완도-목포-고창) | |
1995년 | 2월 24일 |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|
3월 17일 | 제2대 획을 긋는 학생회 결성 | |
학생회장 홍기돈(94학번), 부학생회장 조경희(94학번) | ||
3월 25일-26일 | 문예창작학과 연합 수련회 (능내리에서) | |
4월 4일 | 95학번 입학 기념 식수 | |
11월 20일 | 제3대 획을 긋는 학생회 결성 | |
학생회장 최성용(94학번), 부학생회장 하재정(95학번) | ||
1994년 | 2월 21일 | 김수성 교수, 김경훈 교수, 이사라 교수, 신기상 교수, 백영근 교수, |
박정규 교수 인문자연학과에서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전보 | ||
(~1996년 2월 28일) 김수성 교수 문예창작학과 학과장 맡음 | ||
3월 1일 | 문예창작학과 제1회 신입생(94학번) 입학 | |
3월 2일 | 문예창작학과 창설 기념 및 94학번 입학 기념 식수 | |
4월 5일 | 문예창작학과 창설 기념식 및 다과회 | |
4월 16일 | 문예창작학과 수련회 (대성리에서) | |
4월 19일-20일 | 제1대 획을 긋는 학생회 결성 | |
10월 26일 | 학생회장 김승호(94학번), 부학생회장 홍기돈(94학번) | |
12월 29일 | 문학 세미나. 강사 : 정진홍(서울대 종교학과 교수) | |
1993년 | 9월 3일 | 서울산업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개설 인가 |